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수전증 치료법

생활정보저장소 2019. 12. 10. 15:29

수전증 치료법

눈 밑이 떨린다거나 손이 떨린다거나 얼굴의 한 쪽이 떨리는 증상을 겪는 경우를 많이 본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우리는 보통 떨림이라는 증상을 단순히 마그네슘이라는 영양분이 부족해서 그런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사실 눈 밑 떨림이나 얼굴의 떨림은 마그네슘 부족일 수 있지만 손의 떨림은 수전증이거나 파킨슨병일지도 몰라 제대로 된 진단을 내리는게 좋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손의 떨림 현상을 흔히 수전증이라고 말을 하는데 수전증에 대해서 알아보고 파킨슨병과는 어떤 다른 점이 있으며 수전증 치료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 손이 떨리는 현상을 보이면 수전증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특히 60대의 경우에는 인구의 10% 이상이 10명 중 한 명 꼴로 본태성수전증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본태성 수전증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수전증 증상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본태성 수전증은 유전적 원인이 크다고 하며 가장 흔하지만 이 증상이 악화된다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고 합니다.

 

보통의 수전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물건을 잡거나 글씨를 쓸 때 흔히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떨림의 경우에는 자세를 유지함에 따라서 수전증의 떨림 현상이 좋아지기도 하고 안 좋아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만일 안정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계속 떨림이 지속되는 경우라면 이는 수전증과는 다른 경우라고 하는데요. 파킨슨병을 의심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파킨슨병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떨림 현상과는 다르게 움직임이 둔해지게 된다고 하는데요.

 

심할 경우 발작이 올 수도 있어 하루 빨리 수전증과 달리 안정된 상태에서 떨림이 느껴지게 된다면 병원을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은 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파킨슨병과는 다른 수전증의 원인으로는 주로 무엇이 있을까요. 수전증의 원인으로는 정말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뇌졸증이나 뇌손상, 만성신장 질환 등의 유전적인 요인이 있고 근육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도 수전증이 생긴다고 합니다.

 

 

또한 신경안정제나 우울증약, 진통제 등의 약물을 복용할 경우 수전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수면부족과 육체적인 피로가 있을 경우이거나 허기가 심할 경우에도 수전증이 생기기도 한다고 합니다. 잘 알려진 바로 마그네슘이나 비타민 드으이 영양적인 결핍도 수전증의 원인이 되며 흥분을 하거나 분노하고 긴장감을 느낄 때 일시적으로 수전증이 생기기도 한다고 합니다.

 

 

수전증 원인에 대해서는 알아보았는데 수전증 치료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궁금하실것입니다. 수전증 치료법은 수전증이 심리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질병 중 하나라 불안함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고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이외에도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할 경우 근육의 떨림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규칙적인 식사는 항상 중요하며 충분한 휴식과 편안한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며 복용하는 약물이 있는 경우 끊고 금연과 금주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을 빨리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수전증 치료법을 통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수전증에 좋은 음식은 돼지고기와 견과류, 등푸른생선, 참기름, 탄수화물 등이 있는데요. 이 음식들을 꾸준히 섭취하면 수전증의 증상 개선에 좋다고 합니다. 파킨슨병과 헷갈리게 되는 수전증을 겪는 경우라면 병원을 먼저 내원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수전증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댓글